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볍지 않은 주제이지만 사람들이 꼭 기억해야할 사건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1. 작품 개요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강이 쓴 소설로, 당시 군부의 폭력과 학살을 목격한 사람들의 고통과 트라우마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인공 '동호'를 비롯해 여러 인물들의 시점을 통해 사건의 참혹함과 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보여줍니다. 이 소설은 한강 특유의 서정적이면서도 날카로운 문체로 광주의 아픔을 기록한 작품입니다
2. 줄거리 요약
제1장: 1980년 5월, 소년이 온다
광주에서 벌어진 민주화운동 당시, 15세 소년 '동호'는 시신이 가득한 도청 안 시체 보관소에서 시신을 정리하는 일을 돕는다. 그는 친구 '정대'를 잃었고, 그를 찾으려 하지만 이미 싸늘한 주검이 되어 있었습니다. 동호는 죽은 친구를 바라보며 깊은 슬픔에 빠집니다. 한편, 군인들은 무고한 시민들을 잔혹하게 학살하고, 거리에는 피비린내가 진동랍니다. 동호는 이러한 참혹한 현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으로 움직입니다.
제2장: 빛 속으로 사라진 소년
동호는 시위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체포되어 군부대의 지하실로 끌려갑니다. 그곳에서 그는 군인들에게 심각한 고문을 당하게 됩니다. 전기고문, 구타, 물고문 등이 이어지고, 주변의 시위 참가자들은 잔인한 폭력 속에서 목숨을 잃습니다. 동호 역시 끝내 사살당하고, 그의 시신은 이름도 기록되지 않은 채 매장됩니다.
제3장: 남겨진 사람들
이후 소설은 동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 정대의 누나: 동호와 정대가 함께 있었던 마지막 순간을 떠올리며 고통스러워한다. 그녀는 동생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립니다.
- 동호의 어머니: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버텨냅니다.
- 소년을 죽인 군인: 과거에 대한 죄책감과 트라우마로 괴로워합니다. 그 역시 국가의 폭력에 의해 인간성을 잃어버린 피해자이기도 합니다.
제4장: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 상처
광주의 대학생이었던 '은숙'은 당시 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끔찍한 성고문을 당했다습니다. 그녀는 이후에도 그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평생을 트라우마 속에서 살아가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도 광주의 상처는 사라지지 않고, 생존자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제5장: 마지막, 작별하지 못한 영혼들
오랜 시간이 흘러도 광주의 아픔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민주화운동의 희생자들은 제대로 된 위로를 받지 못한 채 잊혀져 갑니다. 하지만 한강은 이 소설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되새기며, 그날의 희생이 헛되지 않음을 전달하고자 합니다.
3. 작품의 주제와 의미
역사의 잔혹함과 국가 폭력
- 광주 민주화운동에서 정부가 자국민을 탄압하고 학살한 참혹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 동호와 주변 인물들의 희생을 통해 국가 폭력의 잔인함을 고발합니다.
기억과 트라우마
- 살아남은 사람들은 죄책감과 상처 속에서 평생을 살아갑니다.
- 개인의 고통이 시간이 지나도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간의 존엄성과 연대
- 동호는 힘없는 시민이었지만, 친구를 지키기 위해 애씁니다.
- 사람들은 죽음과 폭력 속에서도 서로를 지키려 했고, 그 연대가 희망의 끈이 됩니다.
민주주의와 희생
이 소설은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음을 이야기합니다.
4. 결론
소년이 온다는 광주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중에서도 가장 깊은 울림을 주는 소설입니다.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그 속에서 고통받은 개인의 삶과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진실을 전하고 있습니다.
한강의 문장은 마치 시처럼 아름답지만, 그 속에 담긴 아픔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소설이 아니라, 역사의 증언이자 우리에게 던지는 강렬한 질문이다. "우리는 그날을 기억하고 있는가?"